오랜만에 집에 굴러다니는 라즈베리파이에 dotnet core를 설치해 보기 위해 우분투에서 배포하는 라즈베리파이용 이미지를 SD카드에 구워보려합니다. 저는 macO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처럼 win32 disk imager라는 유용한 유틸리티를 사용할 수 없고 dd명령어를 통해 구워보기로 하였습니다.
0. 라즈베리파이용 이미지 다운로드 & SD카드 삽입
라즈베리파이용 우분투 이미지는 아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라즈베리파이2를 가지고 있는데 아직도 지원을 해줍니다.(32비트만.)
https://ubuntu.com/download/raspberry-pi
Install Ubuntu Server on a Raspberry Pi 2, 3 or 4 | Ubuntu
Ubuntu is an open-source operating system for cross platform development, there’s no better place to get started than with Ubuntu on a Raspberry Pi.
ubuntu.com
작업에 앞서 SD카드는 FAT32로 포맷을 해줍니다.
1. SD카드 장치 경로 찾기
diskutil을 통해 SD카드가 어디에 마운트 됬는지 장치경로를 찾습니다.
diskutil list
그럼 위와 같이 연결된 맥에 연결된 디스크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8기가의 SD카드를 꼽았으므로 8기가짜리 디스크를 찾아보면 /dev/disk4가 SD카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SD카드 언마운트
이미지를 굽기에 앞서 SD카드를 언마운트 해줍니다. 언마운트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diskutil unmoundDisk [디스크장치경로]
3. dd명령어를 통해 이미지 굽기
dd명령어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블록단위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변환하는 명령어입니다. 라즈베리파이용 ubuntu이미지를 다음 명령어를 통해 SD카드에 복사해줍니다.
sudo dd bs=1m if=[라즈베리파이이미지경로] of=[SD카드장치경로]
예를 들어 저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dd bs=32m if=~/Downloads/ubuntu-20.04-preinstalled-server-armhf+raspi.img of=/dev/disk4
완료 될 때까지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므로 쉘이 떨어질 때 까지 그냥 기다리면됩니다.
'테크 > macOS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엣지 브라우저 기본 검색 구글로 바꾸기 (0) | 2020.12.25 |
---|---|
맥에서 음악 앱 한글이 깨질 때 / macOS, iTunes (1) | 2020.12.20 |
macOS OpenVPN 클라이언트 / tunnelblick (0) | 2020.05.24 |
macOS에서 환경변수 수정하기 / .bash_profile (0) | 2020.03.30 |
mac용 AVG 안티바이러스 삭제하기 (0) | 2020.03.09 |
댓글